IT 274

[Linux Mint 17][gimp] highpass filter 설치하기

http://registry.gimp.org/node/7385 에서 high-pass.scm 파일을 내려받습니다.이 파일을 gimp의 script 디렉토리에 복사해주고 gimp를 다시 실행시키면 필터>일반 에 하이패스 필터가 나타납니다.~/.gimp-2.8/scripts/ 에 파일을 복사하면 되겠습니다. 2.8은 사람마다 달라지겠죠?이렇게 만들어진 그림들을 pdf로 만들 때는 convert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convert -define pdf:use-trimbox=true 그림파일들(예, *.png) 만들pdf파일(예, a.pdf)자세한 내용은 simplism님 블로그 문서를  참조하세요.하이패스 필터를 적용해서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은 포토샵에서 적용하는 적분 님의 글과 gimp에서 적용하는 누룽지..

IT 2015.02.03

[Linux Mint 17]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 플래시 플레이어 사용하기

구글 크롬이 CPU를 많이 먹어서 한동안 안쓰다가 오랜만에 다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오랜만에 보니 감회가 새롭더군요. 예전에 하던 작업 기록들이 남아있어서요. 그런데 플래시 플레이어가 동작하는 상황이 안되는 것입니다. qiana-partner 채널을 알 수 없다면서 말이죠.. 기존에 사용하던 패키지나 이런 저런 방법들을 해봤는데 동작을 안합니다.. 여기 저기 뒤지고 적용해보고 하던 중에 동작하는 경우를 찾아냈습니다. 아래 글에 제시된 경우들을 해보면서 실패만 거듭하다가 한 사용자가 나는 되네(Worked for me)라는 응답(feedback)을 달아서 마지막 시도를 해봤습니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2236146 ppa 저장소를 추가하고 Fresh ..

IT/web 2015.01.13

sshfs를 이용한 파일명 변환 전송

mkdir temp euc-kr로 파일 이름이 작성된 파일들이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리눅스 머신에 저장하게 되었죠. 윈도우에서만 동작하는 클라우드 프로그램이 있어서 복잡한 과정 최대한 생략하고 한 번에 윈도우 클라우드 클라이언트가 접근하게 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win-sshfs 라는게 있더군요 라이브러리에 .net 프레임웍에 덕지덕지 설치한 다음에 실행시켜보니 오~~ 마운트는 잘 되었는데 한글이 ???같이 깨져 보이더군요.. 리눅스 머신에서 파일명을 utf-8로 강제 변환해버리자는 생각을 하고 찾아보니 convmv라는 유틸이 있더군요. 하지만.. 해당 리눅스 머신 설정 문제로 패키지 설치가 안됬습니다... 이런 문제로 시간을 소모하기는(설정을 다 해서 잘 쓰다가도 종종 반복되는 문제라서...

IT/System Digging 2014.12.15

[Linux Mint 17] pdfedit 설치하기

우분투에서 libqt3-mt 라이브러리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컴파일해서 설치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라이브러리와 패키지를 직접 내려받아 설치하겠습니다. /etc/apt/sources.list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libqt3-mt deb http://cz.archive.ubuntu.com/ubuntu lucid mainlibqt3-mt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libqt3-mt의존하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했으므로 pdfedit 패키지를 바로 설치합니다.32비트 버전입니다. $ wget http://us.archive.ubuntu.com/ubuntu/pool/universe/p/pdfedit/pdfedit_0.4..

IT/office 2014.12.10

ar 오류 File format not recognized

잘못 써진 ar 옵션이 적혀있는 Makefile이 기존(linux kernel v2.6.18-194)에는 별 문제도 없이 잘 컴파일되어 문제인지도 모르고 있다가 컴파일 환경이 바뀌면서(linux kernel v2.6.32-504.1.3/v3.13.0-24) 'File format not recognized' 란 오류를 뱉어내는 문제를 겪게 되었습니다. file 명령을 써보고 objectdump나  g++ -v 명령이나 g++ -dumpmachine 명령을 내려보거나 libtool을 시스템에서 제대로 찾니 못찾니나 곁다리지만 바이너리와 gdb간의 구조(32 or 64bit) 등 갖은 시도를 해봤지만 딱히 해결책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알고 나니 저런 근본적인 문제가 아니라 황당하긴 했지만요..혹시나 저런..

IT 2014.12.05

[Linux Mint 17] PDF 파일 합치기

윈도우에서는 작업을 잘 안해봐서 모르겠고 오늘도 여전히 사용하는 Linux Mint 17에서 PDF 파일을 볼 일이 생겼습니다. 막상 구했더니 장별로 파일이 모두 나눠져 있더군요. 뭐 몇 개 안되면 상관없는데 50여개에 육박해서 합치지 않으면 귀찮아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목을 완전 자동화해서 뽑아주는 툴을 찾다가 귀찮아서 단순한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과정이 어렵지는 않은데 좀 노가다 과정입니다. 왜냐하면 합치는거야 GUI 프로그램 설치해서 클릭 한두방 하면 되지만 장장 1000 쪽이 넘는 파일을 장 별 책꽂이(bookmark)도 없이 검색 기능만으로 훑어보기는 무리이기 때문에 내용 목차(toc) 역할을 하는 책꽂이를 만들어줘야 하기 때문이죠. 거두절미하고 합치는 용도로 PDF Chai..

IT/pdf 2014.12.03

[Linux Mint 17] 문제발생:: 분석중 - 네트워크로 연결된 CHP-5035DN 프린터 사용하기

문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니 다른 방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CHP-5035DN 프린터는 청호(Chungho)라는 회사에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프린터 제품군이 교세라(Kyocera)에서 취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교세라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제품분류를 '민수 프린터 이전모델'을 선택하면 CHP-5035DN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택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윈도우즈 드라이버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Windows XP부터 Windows 8까지 폭넓게 지원하네요. Linux Mint 17에서는 청호 제품 드라이버가 없습니다. 감사하게도 CHP-5035DN 프린터가 PCL/XL을 지원해서 Generic으로도 품질은 조금 떨어지지만 인쇄 가능합니다. 먼저 시작 버튼을 눌러 관리 폴더를 찾고 그 안에서..

IT/System Digging 2014.11.25

[Linux Mint 17] ffmpeg 사용하기

이 내용을 따라 컴파일을 해서 설치하게 된 계기는 예전 우분투에는 ffmpeg이 제공되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우분투 14.04 계열인 Linux Mint 17에서 패키지 목록에 없더군요.. forcemax님의 글[각주:1]을 보고 바뀐 부분만 옮기려 했는데 2013년이란 작성 날짜가 걸려서 ffmpeg.org에서 공식적으로 안내하는 글[각주:2]의 큰 흐름을 따라 설치하고 forcemax님의 글 내용 중에 패키지로 만들어 설치하는 부분을 포함해서 그 과정을 정리합니다. 먼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포함되는 코덱을 대충 나열하면 ASS/SSA(SSA 자막)[각주:3], freetype(화면 위의 폰트 처리)[각주:4], gpac(MP4/VRML/X3D 등의 확장자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각주:..

IT 2014.11.24

vncviewer 비밀번호 자동 지정

vncviewer를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묻기 때문에 수동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vncviewer 192.168.0.222Connected to RFB server, using protocol version 3.8Enabling TightVNC protocol extensionsPerforming standard VNC authenticationPassword: vncpasswd를 사용하면 암호를 입력받고 해당 암호를 ~/.vnc/passwd 파일에 저장합니다. 이 파일을 vncviewer 실행 인수로 넘겨주면 비밀번호를 묻지 않습니다. Linux Mint 17(Ubuntu 14.04) 기준으로 vncpasswd는 vnc4server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v..

IT 201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