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 5

[ssh] 기존에 잘 쓰던 공개키 파일 윈도우에다 두고 WSL 에서 이 파일로 접속 시 public_key 접속 거부 당할 때

기록용으로 남깁니다. aws 에 업무용 vm 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초반에 접속에 애를 먹고 나서.. putty 용으로 키를 변환(ppk)해서 남겨둔 뒤로 putty 에서 해당 키 지정해서 접속하면 접속이 잘 됩니다. 당연히 잘 되겠거니 하면서 cmd.exe 열어서 bash 명령으로 WSL 진입한 상태에서 원본(이라 쓰고 착각했던이라고 읽는...) pem 키 파일을 다음과 같이 지정해서 접속을 시도했는데 거절당하더군요 ssh -i "original_key.pem" user@abcd.compute.amazonaws.com Warning: Identity file skp-arhis-server-key.pem not accessible: No such file or directory. user@abcd.com..

IT/System Digging 2023.07.14

[wsl] wsl d 드라이브로 옮기고 계정 정상화하기

wsl 을 d 드라이브로 옮기는 일은 dongle94님의 글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다만, 이 방법을 따라하면 딱 하나 안되는게 있습니다.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되지 않고 root 계정으로 로그인됩니다..이리저리 뒤져본 결과 해결책을 찾아 옮기는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고 계정 정상화하는 방법을 기록하겠습니다.가정c:, d: 드라이브 2개로 나눠져 있고 d 드라이브 용량이 충분히 크게 남아있다고 가정합니다.Win+R 키 눌러서 cmd 실행현재 내가 설치한 wsl 이름 확인wsl -l --allUbuntu(기본값)dongle94 님 글과 달리 제 환경은 리눅스 이름이 달라서 실행이 되질 않았습니다. 이 명령으로 확인하니 Ubuntu 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d ..

IT/System Digging 2022.07.15

[virtualbox] NAT 호스트와 가상머신간의 scp 파일 복사하기

기록용으로 남깁니다.환경게스트가상머신에 우분투 20.04 설치openssh-server 설치호스트윈도우10 wslwsl 에 openssh-server 설치virtualbox 네트워크는 NAT로 설정먼저 가상머신을 종료하고 해당 가상머신의 설정>>네트워크 항목을 들어갑니다.포트 포워딩 설정을 추가해줍니다.현재 제 윈도우 호스트 ip는 192.168.7.2 입니다. 가상머신인 우분투는 10.0.2.15입니다. 포트는 임의로 10022를 사용하겠다고 지정했습니다. 가상머신의 22번과 연결해놨죠.이제 가상 머신을 실행시켜서 터미널을 실행시킵니다.윈도우(WSL) -> 가상머신(ubuntu) 파일 복사윈도우의 WSL 터미널에서 명령을 내립니다. 아래 예제는 현재 ..

IT/virtualbox 2021.09.09

[WSL] sshd 자동 시작하기

ssh 패키지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시스템 시작시 sshd를 실행하도록 구성이 되는데 runlevel의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WSL로 설치된 우분투에서는 cmd 창을 열어서 bash 를 실행시키고 runlevel을 보면 unknown 으로 나와 있습니다. Win + R 키를 눌러서 실행 창이 있을 때 shell:startup 을 실행시키면 시작프로그램 폴더가 열립니다. 이곳에 다음 내용으로 sshd.bat 파일을 생성합니다. @echo off "C:\Windows\System32\bash.exe" -c "sudo service ssh start"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우분투에 설치시 기본 계정은 sudo를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묻습니다. 보안을 위해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게 맞는데 ssh를 사용하기 ..

IT/System Digging 202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