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용으로 남깁니다.
- 환경
- 게스트
- 가상머신에 우분투 20.04 설치
- openssh-server 설치
- 호스트
- 윈도우10 wsl
- wsl 에 openssh-server 설치
- virtualbox 네트워크는 NAT로 설정
- 게스트
먼저 가상머신을 종료하고 해당 가상머신의 설정>>네트워크 항목을 들어갑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을 추가해줍니다.
현재 제 윈도우 호스트 ip는 192.168.7.2 입니다. 가상머신인 우분투는 10.0.2.15입니다. 포트는 임의로 10022를 사용하겠다고 지정했습니다. 가상머신의 22번과 연결해놨죠.
이제 가상 머신을 실행시켜서 터미널을 실행시킵니다. 1
- 윈도우(WSL) -> 가상머신(ubuntu) 파일 복사
- 윈도우의 WSL 터미널에서 명령을 내립니다. 아래 예제는 현재 폴더의 모든 파일(-r *)을 가상머신의 virtualbox_user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 2
scp -P 10022 -r * virtualbox_user@192.168.7.2:
- 파일 하나만 복사하려면 파일명을 직접 적어주면 됩니다. 아래 예제는 readme.md 파일을 /home/virtualbox_user/Downloads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
scp -P 10022 readme.md virtualbox_user@192.168.7.2:~/Downloads
- 윈도우의 WSL 터미널에서 명령을 내립니다. 아래 예제는 현재 폴더의 모든 파일(-r *)을 가상머신의 virtualbox_user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 2
- 가상머신(ubuntu) -> 윈도우(WSL) 파일 복사
- 가상머신의 리눅스 터미널에서 명령을 내립니다. 아래 예제는 readme.txt 파일을 윈도우 사용자 window_user_name 의 내문서 폴더의 work 폴더 안에 wsl의 wsl_user 계정 권한으로 파일을 복사합니다.
scp readme.txt wsl_user@10.0.2.2:/mnt/c/Users/window_user_name/Documents/work
- 가상머신의 리눅스 터미널에서 명령을 내립니다. 아래 예제는 readme.txt 파일을 윈도우 사용자 window_user_name 의 내문서 폴더의 work 폴더 안에 wsl의 wsl_user 계정 권한으로 파일을 복사합니다.
'IT > virtual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20.04 single mode in virtualbox (0) | 2021.03.25 |
---|---|
[util][virtualbox] usb 드라이브로 부팅하기 (0) | 2019.12.26 |
[VirtualBox] 이미지 옮길 때 발생하는 UUID already exists 문제 (0) | 2016.01.05 |
VirtualBox에서 USB 부팅해보기 (0) | 2014.11.13 |